경상도 사투리 한자성어

경상도 사투리 한자성어
경상도 사투리 한자성어


경상도 사투리 한자성어

경상도 사투리 한자성어

지랄한다 (知剌汗多)

뜻: 아는 것이 어그러지면 할 일 없이 땀만 많이 흘린다는 뜻으로, 아는 체 하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어리둥절해하거나 골치 아프게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예시: “그 사람은 늘 지랄만 해서 믿을 수가 없어요.”

문등자석 (文登自晳)

뜻: 문장의 길에 오르면 스스로 밝아진다는 뜻으로, 학문을 닦으면 지식과 덕이 저절로 쌓여 밝은 사람이 된다는 의미로 쓰인다.

예시: “학생들이 문등자석하여훌륭한 인재가 되기를 바랍니다.”

모락하노 (謀樂何老)

뜻: 즐거움을 도모하니 어찌 늙으리오라는 뜻으로, 즐겁게 지내면 늙지도 않는다는 의미로 쓰인다.

예시: “노인이 모락하노하며 건강하고 행복하게 지내셨습니다.”

택도엄다 (澤度儼多)

뜻: 법도를 가려 의젓함을 많이 하라는 뜻으로, 예의 바르고 엄숙하게 행동하라는 의미로 쓰인다.

예시: “공무원들은 택도엄다하여 국민의 신뢰를 얻어야 합니다.”

무락해산노 (無樂奚算老)

뜻: 낙이 없으니 어찌 늙음을 따지리오라는 뜻으로, 즐거움이 없으면 늙음도 무감각하다는 의미로 쓰인다.

예시: “삶이 힘들어 무락해산노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니우얄락고이라노 (尼雨夜樂苦移裸老)

뜻: 대저 비오는 밤 고락이 헐벗은 노인 근심케 하네라는 뜻으로, 비바람이 심한 밤에는 헐벗은 노인이 고생스럽다는 의미로 쓰인다.

예시: “니우얄락고이라노하니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주어야겠습니다.”

문디가시나야 (文登歌詩那也)

뜻: 문장에 오르니 노래와 시가 어쩌는고라는 뜻으로, 학문을 닦으면 문학에도 능해진다는 의미로 쓰인다.

예시: “학자들은 문디가시나야하여 뛰어난 문인이 되기도 합니다.”

고마탁세리불라 (苦魔濁世里不拏)

뜻: 고통과 마귀가 흐린 세상에 붙잡히는구나라는 뜻으로, 세상이 어렵고 고통스러운데서 벗어날 수 없다는 의미로 쓰인다.

예시: “고마탁세리불라하여 인생이 힘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