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발돋움과 발받침 어떤 것이 맞는 말? “, 1. 담이 너무 높아 발돋움을 하고 있었다. 2. 담이 너무 높아 발받침을 하고 있었다. 정답 : 담이 너무 높아 발돋움을 하고 있었다. “ 키를 돋우려고 발밑을 괴고 서거나 발끝만 디디고 서는 것을 뜻하는 단어는 발돋움입니다. “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송골송골과 송글송글 어떤 것이 맞는 말? “, 1. 그에게 땀방울이 송골송골 맺혔다. 2. 그에게 땀방울이 송글송글 맺혔다. 정답 : 그에게 땀방울이 송골송골 맺혔다. “ 땀이나 소름, 물방울 따위가 살갗이나 표면에 잘게 많이 돋아나 있는 모양은 송골송골로 씁니다. “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밤새다와 밤세다 어떤 것이 맞는 말? “, 1. 우리는 밤새도록 이야기를 나누었다. 2. 우리는 밤세도록 이야기를 나누었다. 정답 : 우리는 밤새도록 이야기를 나누었다. “ 주로 밤새도록의 꼴로 쓰이며, 밤이 지나 날이 밝아 온다는 뜻을 가진 말은 밤새다입니다. “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주전부리와 주점부리 어떤 것이 맞는 말? “, 1. 아이는 주점부리를 찾았다. 2. 아이는 주전부리를 찾았다. 정답 : 아이는 주전부리를 찾았다. 때를 가리지 아니하고 군음식을 자꾸 먹거나 그런 입버릇을 이르는 말은 ‘주전부리’입니다.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변변찮다와 변변챦다 어떤 것이 맞는 말? “, 1. 그저 변변찮은 제 성의입니다. 2. 그저 변변챦은 제 성의입니다. 정답 : 그저 변변찮은 제 성의입니다. “ 변변찮은이 맞습니다. -하지 뒤에 않이 어울릴 경우 찮으로 표기합니다. “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뒤태와 뒷태 어떤 것이 맞는 말? “, 1. 뒷태가 아름다웠던 그 사람이 생각난다. 2. 뒤태가 아름다웠던 그 사람이 생각난다. 정답 : 뒤태가 아름다웠던 그 사람이 생각난다. “ 뒤와 태(態)가 결합했지만 소리가 덧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습니다. “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패가망신과 폐가망신 어떤 것이 맞는 말? “, 1. 도박으로 인해 패가망신하고 말았다. 2. 도박으로 인해 폐가망신하고 말았다. 정답 : 도박으로 인해 패가망신하고 말았다. “ 집안의 재산을 다 써서 없애고 몸을 망치는 것은 패가망신(敗家亡身)입니다. “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세벽과 새벽 어떤 것이 맞는 말? “, 1. 요즘에는 새벽에 너무 춥다. 2. 요즘에는 세벽에 너무 춥다. 정답 : 요즘에는 새벽에 너무 춥다. “ 동이 트려할 무렵을 뜻하는 단어는 새벽입니다. “

당신의 행복

당신의 행복 당신의 행복 행복은 투자입니다. 미래가 아닌 현실을 위해 남김없이 투자하세요. 지금 행복하지 않으면 내일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을 온전하게 쓸 수 있어야 한답니다. 행복은 공기입니다. 때로는 바람이고 어쩌면 구름입니다. 잡히지 않아도 느낄 수 있고 보이지 않아도 알 수 있답니다. 행복은 선물입니다. 어렵지 않게 전달할 수 있는 미소이기도 하고 소리 없이 건네 줄 수 있는 믿음이기도 … Read more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알쏭달쏭 우리말 “ 쩨쩨하게와 째째하게 어떤 것이 맞는 말? “, 1. 째째하게 그런 일로 화를 낸다. 2. 쩨쩨하게 그런 일로 화를 낸다. 정답 : 쩨쩨하게 그런 일로 화를 낸다. “ 사람이 잘고 인색하다는 뜻의 단어는 쩨쩨하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