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부전증

급성 신부전증
급성 신부전증


급성 신부전증

급성 신부전증

정의

급성 신부전증은 24시간 이내에 소변량이 400ml 이하로 감소하는 상태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거의 소변이 나오지 않습니다. 신장은 혈액에서 노폐물을 걸러내어 소변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므로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가장 먼저 소변량이 감소합니다.

원인

급성 신부전증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과거에는 태반 조기 박리, 패혈성 유산, 임신 중독증, 전치태반, 산후 출혈, 태아 사망 후 분만 지연 등 임신 관련 요인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요즘에는 원인 모를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약물의 부작용, 염증, 수뇨관 결석 등으로 인해 소변이 배출되지 않아 급성 신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산부의 급성 신부전증 원인

  • 산과적 출혈: 태반 조기 박리 등으로 출혈이 많고 혈압이 떨어질 경우 신장 혈류가 감소하여 신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혈 부작용: 특히 여성은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하여 수혈을 받는 경우가 많아 적혈구 항체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불규칙 항체에 의한 수혈 반응도 급성 신부전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용혈성 요독 증후군: 감염 등이 원인이 되어 혈전성 미세 혈관 병변이 생겨 신부전증이 합병될 수 있습니다.

경과

급성 신부전증의 예후는 신장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산소 부족이 잠시 발생했지만 빠르게 회복된 경우 신장에 큰 영향이 없고 신장 기능도 회복됩니다. 그러나 사구체의 손상이 심한 경우 신장 기능이 영구적으로 손상되어 만성 신부전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관리 및 치료

출산 후 특히 제왕절개 후에는 출혈이나 탈수로 인해 소변량이 감소하거나 신장 기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소변량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변량이 너무 적은 경우 의료진에게 알려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급성 신부전증은 수분 공급으로 개선됩니다. 그러나 소변량이 매우 적은 경우는 신장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복막 투석이나 혈액 투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급성 신부전증의 사망률은 약 20%이며 만성 신부전증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이 중요하며, 태반 조기 박리, 전치태반, 임신 중독증 등의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조기에 조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