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돈목 부처의 눈과 돼지의 눈

불안돈목 부처의 눈과 돼지의 눈
불안돈목 부처의 눈과 돼지의 눈


불안돈목 부처의 눈과 돼지의 눈

불안돈목(佛眼豚目)

부처의 눈(佛眼)과 돼지의 눈(豚目)

‘불안돈목’이란 속담은 무학대사와 조선 태조 이성계 사이에 있었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부처의 눈으로 보면 모든 것이 부처로 보이고, 돼지의 눈으로 보면 모든 것이 추하게 보인다는 뜻입니다. 여기에서 사물은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평가가 다를 수도 있으니 만물을 자기 척도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가르칩니다.

무학대사의 해몽

무학대사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이성계가 집집마다 닭들이 ‘꼬끼요’하고 일제히 울 때 한 허름한 집에서 서까래 세 개를 지고 나오는 꿈을 꾸었습니다. 무학대사는 닭 우는 소리는 고귀한 지위를 축하하는 “고귀위”란 말이고, 서까래 세 개를 지면 왕이 된다고 해몽했습니다.

흉허물 없는 태조와 부처와 돼지

태조가 한양으로 천도하고 시국이 안정되자 이성계는 무학대사에게 흉허물 없이 지낸다고 하며 돼지를 닮았다고 농을 던졌습니다. 그러나 무학대사는 태조에게 부처를 닮았다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태조가 불평하자 무학대사는 “부처님 눈으로 보면 부처로 보이고(佛眼佛示), 돼지의 눈으로 보면 돼지로 보일 뿐입니다(豚目豚示)”라고 말했습니다. 결국 이성계는 무학대사의 말에 웃음을 터뜨렸습니다.

시사점

이 속담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 만물을 자기 척도로 보지 말 것.
  • 사물은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평가가 다를 수 있음.
  • 진정한 가치를 판단하려면 객관적인 관점이 필요함.